티스토리 뷰
REST API 란? REST의 원리를 따르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T 란 ?
HTTP *URL(Uniform Resource Identifier) 을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GET,DELETE,PATCH 등) 를 통해,
해당 자원(URl)에 대한 *CRUD Operation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행위를 표현)
*CRUD = create,read,update,delete 의 약자
여기서 URI 와 URL 은 다른 것이다.
- URI =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 자원 식별자를 의미한다. 웹 기술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 리소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문자열 시퀀스다.
- URL = 웹 주소, 리소스가 어디 있는지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차이점 - URI 는 식별하고, URL은 위치를 가르킨다.
URI 표시 방법 2가지
1. Path variable 방식
- /user/123
2. Query Parameter 방식
- /user?job=doctor
Method란?
Method | 역할 |
POST | POST를 통해 해당 URI를 요청하면 리소스를 생성합니다. |
GET | GET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조회합니다. 리소스를 조회하고 해당 도큐먼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가져온다. |
PUT | PUT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수정합니다. |
DELETE | DELETE를 통해 리소스를 삭제합니다. |
*GET 과 POST 의 차이점
GET 은 서버의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요청할 때,
POST는 서버의 리소스를 새로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사용한다.
*url 에서는 동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 명사만 사용한다.
ex)
- GET/movies = 영화를 불러온다, -> GET/movies/inceptions = 영화에서 인셉션을 불러온다
- POST/movies = 영화를 만든다 ->POST/movies/inceptions= 영화에서 인셉션을 만든다
- PUT/movies = 영화를 업데이트 한다 ->PUT/movies/inceptions= 영화에서 인셉션을 업데이트한다
- DELETE/movies = 영화를 삭제한다 ->DELETE/movies/inception= 영화에서 인셉션을 삭제한다
이런 식으로 한눈에 이해하기 쉽게 URL을 만들어야한다.
"스스로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REST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 REST in AEM
'개발 > 이론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버로딩(Overloading) , 오버라이딩(Overriding) 이란? (0) | 2022.11.08 |
---|---|
트러블 슈팅(Troble shooting) 이란? (0) | 2022.11.04 |
SQL 이란? (1) | 2022.11.03 |
Cache Hit Ratio란? (2) | 2022.11.02 |
git, github 란? (0) | 2022.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