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개발/이론 공부

Cache Hit Ratio란?

Ikhyeon IT 2022. 11. 2. 22:29

#cache 란?

다음에 사이트를 재방문할 때 해당 콘텐츠가 훨씬 빠르게 표시 되도록 웹 사이트의 데이터와 콘텐츠를

임시로 저장하는 고속 메모리입니다.

데이터와 콘텐츠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caching"이라고 합니다.

 

예) "강연에서 청중에게 3,548,752 를 23,234로 나눈 값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사람들은 계산기를 들었고 누군가 몇 초 후에 대답을 외쳤다.

그러자 강연자가 다시한번 똑같은 질문을 반복했다.

이번에는 모두가 곧바로 답을 외칠 수 있었다."

 

이처럼 시간이 많이 걸리는 초기 프로세스를 한 번 수행한 이후에는 다음 동일한 질문을 받았을 때

답변이 쉽게 제공되고 훨씬 빠르게 전달 될 수 있다. 

 

 

#Cache Hit Ratio란 말 그대로 캐시가 적중되는 정도를 뜻합니다.

 

1) 캐시는 주기억장치(ROM,RAM) 와 CPU사이에 위치하며,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한다.


2) 캐시 메모리는 메모리 계층 구조에서 가장 빠른 소자이며, 처리 속도가 거의 CPU의 속도와 비슷할 정도이다.


3) 캐시를 사용하면 주기억장치를 접근하는 횟수가 줄어듦으로써 컴퓨터 컴퓨터의 처리속도가 향상된다.


4) 캐시 주소표는 검색시간을 단출시키기 위해 주로 연관기억장치(CAM, Associative Memory)를 사용한다.


5) 캐시의 크기는 보통 수십 킬로바이트에서 수백킬로바이트이다.) 

 

#Cache Hit 와 Cache Miss  의 차이점

 

Cache Hit =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찾아 성공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Cache Miss = 메모리를 검색했지만 데이터를 찾을 수 없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이 경우 콘텐츠가 전송되어 캐시에 기록됩니다.

 

 

Cache Hit Ratio란 말 그대로 캐시가 적중되는 정도를 뜻합니다.

 

#적중률 = 적중횟수 / 총 접근 횟수  (0.95~0.99일 때 우수하다고 한다)

'개발 > 이론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버로딩(Overloading) , 오버라이딩(Overriding) 이란?  (0) 2022.11.08
트러블 슈팅(Troble shooting) 이란?  (0) 2022.11.04
SQL 이란?  (1) 2022.11.03
REST API 란?  (4) 2022.11.01
git, github 란?  (0) 2022.10.31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