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자바에서 볼 수 있는 for, while문외의 제어문을 정리해 보았다.
switch문
<사용 이유>
if문은 조건식의 결과가 참과 거짓, 두 가지밖에 없기 때문에 경우의 수가 많아질수록 else-if를 추가해야 한다.
switch문은 단 하나의 조건식으로 많은 경우의 수를 처리할 수 있고, 표현도 간결하므로 알아보기 쉽다.
        switch (조건식) {
            case 값1:
                System.out.println(4);
                break;
            case 값2:
                System.out.println(3);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1);
        }
<계산 순서>
1. 조건식을 계산한다.
2. 조건식의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으로 이동한다.
3. 이후의 문장들을 수행한다.
4. break문이나 switch문의 끝을 만나면 switch문 전체를 빠져나간다.
만약 case 마지막에 break를 작성하지 않으면 default 구문까지 실행되고 종료한다.
<switch문의 제약조건>
1. switch문의 조건식 결과는 정수 또는 문자열이어야 한다.
2. case문의 값은 정수 상수, 문자열만 가능하며,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do-while문
<사용 이유>
기본적인 구조는 while문과 같으나 조건식과 {} 블록의 위치가 변경되어 블록을 최소 한번 실행한다.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서 처리할 때 유용하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answer = 10;
        int input = 0;
        do {
            System.out.println("값을 입력하세요");
            input = sc.nextInt();
            if (input > answer) {
                System.out.println("틀렸습니다 더 작은 숫자입니다.");
            } else if (input < answer) {
                System.out.println("틀렸습니다 더 큰 숫자입니다.");
            }
        } while (input != answer);
        System.out.println("정답입니다.");
    }for-each문
<사용 이유>
for, while문에 비해 간결하며, 가독성이 좋고, 인덱스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s = {1, 2, 3, 4, 5};
        
        // 배열의 각 요소를 출력하는 foreach문
        for (int number : numbers) {
            System.out.println(number);
        }
    }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패키지 (0) | 2023.06.14 | 
|---|---|
| [Java] 상속 (0) | 2023.06.08 | 
| [Java] 클래스 (0) | 2023.06.07 | 
| [Java] 자바 데이터 타입, 변수 그리고 배열 (0) | 2023.06.02 | 
| [Java] JVM은 무엇이며 자바 코드는 어떻게 실행하는 것인가. (0) | 2023.06.01 | 
					댓글